menu

전자기 현상에 대한 아름다운 이론, 근본으로 돌아가자

전자기 현상에 대한 아름다운 이론, 근본으로 돌아가자

전자기학에 대해 1년 동안 배웠지만 무언가 전체적인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 나무를 자세히 보다보니 숲을 보지 못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전자기 현상이야 말로 정말 간단한 원리로부터 모든 것을 끌어낼 수 있는 환원적이고 대칭적인 아름다운 이론이다. 헷갈리기 시작할 때, 문제에 어떤 식을 적용해야 할지 모르겠을 때, 갈 길을 잃었다고 느낄 때마다 여기로 돌아오면 된다. 근본으로 돌아가자.

전자기학은 기본적으로 장론(field theory)이다. 패러데이가 처음으로 ‘장’의 개념을 도입했다. 모든 전자기 현상은 전하를 띈 입자와 전자기장의 상호작용을 통해 설명된다. 입자와 장은 각각 운동량, 각운동량, 에너지를 가지고 있고 이 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자기 현상이 일어 나기도한다. 이 것이 핵심이다. 이 말을 곱씹고 또 곱씹고 헷갈릴때 마다 돌아와야 한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하를 띈 입자는 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한다.”
“장은 전하를 띈 입자가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한다.”

놀랍게도 모든 것은 위의 두 줄로 설명된다. 제발 저를 믿어주세요. 진짜 저 두 줄만 알면 모든 것이 담겨있다. 전자기학이 너무 헷갈린다면 지금까지의 모든 것을 다 잊고 이 것만 기억해도 좋다. 이 두가지 사실로 부터 두가지의 전자기 현상에 대한 운동방정식을 이끌어 낸다.

전하를 띈 입자는 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한다.$\rightarrow$ 맥스웰 방정식
장은 전하를 띈 입자가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한다.$\rightarrow$ 로렌츠 힘 법칙

그래서 전자기학은 결국 맥스웰 방정식과 로렌츠 힘 법칙만 알면된다. 진짜 그럴까? 우리되게 뭐 많이 배웠는데? 진짜 그렇다! 나중에 확인해 볼 수 있다. 나도 정말 진짜 그런지 꼼꼼하게 다 체크해봤다. 우리가 전자기학에서 배운 것들, 연속방정식, 푸아송방정식, 포인팅 정리 등등 전부 여기서 부터 유도된다. 전자기학은 간단한 방정식으로 모든 전자기현상을 완벽하게 설명할수 있다. 심지어 그뿐 아니라 그 자체로 로렌츠 대칭성과 U(1) 게이지 대칭성까지 가지고있는 진짜 기가막히게 아름다운 이론이다. 맥스웰 방정식이 로렌츠 대칭성을 가진 덕분에 아인슈타인이 처음으로 이를 발견하고 시공간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다. 이제 맥스웰 방정식과 로렌츠 힘 법칙에 대해 알아보자.

맥스웰 방정식

맥스웰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4개의 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begin{aligned} \nabla \cdot \mathbf{B} & = 0 \\ \nabla \times \mathbf{E}+\frac{\partial \mathbf{B}}{\partial t} & = 0 \\ \\ \nabla \cdot \mathbf{E} & =\frac{\rho}{\varepsilon_0} \\ \nabla \times \mathbf{B}-\frac{1}{c^2} \frac{\partial \mathbf{E}}{\partial t} & =\mu_0 \mathbf{J}\end{aligned}\]

식(1)과 식(2)는 전하 또는 전류분포 때문에 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알려주는 방정식이라기보단 장 자체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말해주는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정식이 아니라 항등식이라 부르는 것이 적합해 보인다.
\(\begin{aligned} \nabla\cdot\mathbf{B}=0\,\rightarrow\,\mathbf{B}=\nabla\times A\\ \nabla\times\mathbf{E}+\frac{\partial}{\partial t}(\nabla\times A)=\nabla\times(\mathbf{E}+\frac{\partial A}{\partial t})=0\,\rightarrow\, \mathbf{E}=-\nabla V-\frac{\partial A}{\partial t}\end{aligned}\)

이 처럼 두 식으로 부터 우리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어떤 형태를 가져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이 식을 Homogeneous Maxwell equation이라고 부른다.

식(3)과 식(4)는 전하 또는 전류에 의해 장이 어떻게 움직일지를 알려주는 ‘진짜’방정식이다. “전하를 띈 입자는 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한다”라는 말에 해당하는 법칙이다. 이 식을 Inhomogeneous Maxwell equation이라고 부른다.

로렌츠 방정식

로렌츠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F=q(E+v\times B)\end{aligned}\) 전기장과 자기장 속에서 움직이는 하전입자가 받는 힘을 나타낸다. “장은 전하를 띈 입자가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한다”라는 말에 해당하는 법칙이다.

이로써 우리는 우리 우주에서 일어나는 모든 전자기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두가지 운동방정식을 얻었다. 이 두가지만 알면 왜 도선 옆에 나침반을 두면 바늘이 움직이는지, 전자기기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왜 발전기를 돌리면 전기가 생기는지 오로라는 왜 생기는지 등등을 전부 설명할 수 있다는 뜻이다.

텐서표기법


사원벡터(four-vector)를 도입하고 텐서표기법을 사용해서 맥스웰 방정식과 로렌츠 힘 법칙을 좀더 우아하게 다시 써볼 수 있다. 지금 여기서 새로운 내용은 없다. 말했듯이 위의 내용이 전부다. 이 것은 그저 식을 좀더 간결한 수학적 표현으로 쓰기 위함이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전자기장 텐서$F_{\mu\nu}$를 도입한다.
\(\begin{aligned} F_{\mu \nu}=\left[\begin{array}{cccc}0 & -E_x / c & -E_y / c & -E_z / c \\ E_x / c & 0 & B_z & -B_y \\ E_y / c & -B_z & 0 & B_x \\ E_z / c & B_y & -B_x & 0\end{array}\right]\end{aligned}\)
그럼 Homogeneous Maxwell equation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begin{aligned} F_{\mu\nu}=\partial_{\mu}A_{\nu}-\partial_{\nu}A_{\mu}\end{aligned}\) 또는 \(\begin{aligned} \partial_{\mu}F_{\nu\sigma}+\partial_{\nu}F_{\sigma\mu}+\partial_{\sigma}F_{\mu\nu}=0\end{aligned}\)

Inhomogeneous Maxwell equation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begin{aligned} \partial_\mu F^{\mu\nu}=J^\nu\end{aligned}\)

로렌츠 힘 법칙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begin{aligned} f_{\mu}=qF_{\mu\nu}U^\nu\end{aligned}\)

(한번 진짜 그런지 체크해보자!)
더 더욱 간단하게는 그냥 저 방정식들을 이끌어내는 작용을 써보면 된다. 맥스웰 방정식을 이끌어내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S_{Maxwell}=\int\left(-\frac{1}{4}F_{\mu\nu}F^{\mu\nu}+J^\mu A_{\mu}\right)d^4x\end{aligned}\)
첫 항은 장 자체에 대한 라그랑지안 밀도, 두 번째 항은 입자와 상호작용하는 라그랑지안 밀도이다. 로렌츠 힘 법칙을 이끌어내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ed} S_{Lorentz}=\int\left(\sqrt{1-\frac{v^2}{c^2}}(mc^2+qA_\mu U^\mu)\right)dt\end{aligned}\)
첫 항은 자유입자에 대한 (상대론적)라그랑지안, 두 번째 항은 장과 상호작용하는 라그랑지안이다. 이들 역시 오일러 라그랑주 공식을 이용해 직접 체크해보자. 여기서,
$\int \sqrt{1-\frac{v^2}{c^2}}qA_\mu U^\mu dt=\int\sqrt{1-\frac{v^2}{c^2}}\rho\,A_\mu U^\mu\,dtdxdydz=\int A_\mu J^\mu\,d^4x$
이므로 상호작용하는 항이 사실은 같은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이 입자와 장의 상호작용 항이 전자기현상을 일으키는 본질이라 볼 수 있겠다. 이 항은 입자 관점에서는 로렌츠 힘 법칙을 유도하고 장의 관점에서는 맥스웰 방정식을 유도한다.

아름다운 물리학


전자기 현상을 관통하는 가장 근본적인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너무 중요해서 다시 써보면,

전하를 띈 입자는 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한다.$\rightarrow$ 맥스웰 방정식
장은 전하를 띈 입자가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한다.$\rightarrow$ 로렌츠 힘 법칙

이제 아무리 어려워 보이는 전자기 문제가 나타나도 쫄 필요가 없다.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가보자. 맥스웰 방정식과 로렌츠 방정식을 유도하는 좀 더 아름다운 방식도 있다. 우리가 전자기 현상에 대해 아는 것이 하나도 없고 실험적 정보가 하나도 없어도 전자기현상을 기술하는 맥스웰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위의 라그랑지안을 보면 U(1) 게이지 변환과 로렌츠 변환에 대해서 불변함을 알 수있다. 그래서 이 두가지 사실로 부터 전자기학의 운동방정식을 역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저 U(1) 게이지대칭성과 로렌츠 대칭성을 만족하도록 라그랑지안을 잘 만들면 이 라그랑지안을 만들어 보는 것이다. 그래봤더니 이 라그랑지안이 진짜 맥스웰 방정식을 이끌어 낸다. 전자기현상의 실험적 정보로부터 운동방정식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대칭성’을 가져야 한다는 사실로부터 운동방정식을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니 정말 기가막히다.